22.1.3. 현재
1. 개요
1)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2) Play 2 Earn
3) 총발행수량 : 1,205,750,000 (현재 유통량 : 861,250,000)
4) 시총 : 1.2조원 (가격 : 1375원)
5) 상장 : 업비트, 빗썸, 코인원 (93%가 업비트). 즉, 김치코인
6) 물량의 90%는 상위 12명이 보유
2. 합종 연횡
1) 카카오게임즈의 라이온하트스튜디오(오딘의 글로벌판권을 보유한 회사) 인수
2) 프렌즈게임즈(카겜의 자회사)의 웨이투빗(보라코인 발행사) 인수
* 이는 오딘에 보라코인을 붙이기 위한 목적
3. 카겜 현황 & 클레이튼
카겜은 자체 체인인 클레이튼이 있으며 NFT 거래소를 설립할 것이라고 선언.
클레이튼은 싱가폴에 발행사(그라운드 X)를 두고 있다.
* 현재 코인 거래가 증권인지 여부 등 규제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을 감안 보라코인을 ERC20 에서 클레이튼으로 이관함
4. 이슈
우리나라에서는 P2E 가 사행성 논란으로 인해 현재 진행 불가 상황
허용 가능한 동남아 국가에서 수익을 내야하는 상황 (위메이드-위믹스-미르4 와 같이)
5. 관건
1) 결국은 실적 (카겜의 실적 보아야 함. 실적 안나오면 결국은 대테마에서 사라지게 될 수 있음)
2) P2E 게임은 결국 재미가 있어야 하며, 돈이 되어야 함 → 이 2가지가 충족되면 선순환 가능
* 필자는 게임은 안하지만 오딘의 완성도가 높다는 이야기가 대다수
3) 또한 생태계를 어떻게 키우느냐에 따라 장기 성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
* 위메이드는 지금 중소형 게임회사와의 연합 전선 구축중. 100개 연합 목표라고 발표.
* 카겜은 카카오라는 대기업의 생태계를 어떻게 활용할지도 중요하다고 보임
6. 코인가격 관련
보라코인은 철저히 김치코인이기 때문에 카카오게임즈 주가와 연관이 매우 높은 상황.
카겜 주가 분석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
비트코인이나 메이저코인 등 시장영향을 받기야 하겠지만 아주 흔들지만 않으면 개별주식처럼 움직일 수 있는 이유.
세력이 대부분 우리나라에 있을 것이기 때문.
오늘 급 상승(+15%) 역시 이렇게 해석됨.
7. 비교 대상 : 위메이드의 위믹스 코인
1) 발행 : 10억 위믹스
2) 시총 : 1.4조로 유사
3) 개발 : '20.6.17. Wemade Tree Pte. Ltd.
'재테크 >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리즈 (CHZ) 분석 #1 (0) | 2022.01.04 |
---|---|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3 (0) | 2022.01.04 |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2 (0) | 2022.01.03 |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1 (0) | 2022.01.02 |
믹스마블 (MIX) 분석 #1 (0) | 2021.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