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통 김프 확인은 김프가에서 한다.
요즘은 김프가 1%를 넘지 않는 수준에서 형성된다.
아래는 김프이다.
대부분이 0.3~0.7%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다.
과거 1.5%~2% 안팎에서 형성되고 있을때와는 무엇이 다른가?
1) 먼저, 시장이 많이 침체 되어 있어서,
한국에서도 투자자들이 많이 줄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열풍이 없으니 뭐 무리해서까지 투자를 안하려고 하는거겠지.
2) 다음으로 중요한게 바로 환율.
앗 검색해보니 오늘 또 뛰었네ㅠㅠ
김치 프리미엄이라는 것 자체가 원화거래 vs. 달러거래의 차이이기 때문에
영향을 어느정도는 받게 된다.
해외거래소의 기준은 미국 달러이니 말이다.
그러니 왠만한 투자자들은 환율이 좋을 때
역으로 한국에다가 돈을 보내놓고 싶은 충동이 생기기 마련이다.
반대로 한국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굳이 달러로 바꿔가면서
투자하고 싶은 생각이 적게 들수 있다.
이는 이성적인 로직은 아닌데 그냥 심정적으로 그럴 수 있다는 말이다.
이성적인 rational 한 판단으로는 이는 아무 영향이 없다.
그 가치가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다만, 느낌상 과거에 비해,
특히 장기 투자자라면,
수익이 기본 20% 이상이 더 불어 있을 수 있다. 환율 때문에.
따라서, 원화거래소로 돈을 바꾸고 싶은 충동이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김프가 더 적게 낄 수 있다는 생각이다.
반응형
'재테크 >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파이 유동성 공급(LP) 비영구적손실 일시적손실 (예시로 설명) (0) | 2022.10.10 |
---|---|
셀시우스(CEL) #3 (마운트곡스 사건 정리) (0) | 2022.10.07 |
메타마스크 해킹 관련 #1 (0) | 2022.10.07 |
칠리즈 (CHZ) 가격 #8 (D-48) (0) | 2022.10.02 |
리플 (XRP) #3 오늘 급락 이유 : 시세 조작 찌라시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