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클레이를 카이카스 지갑으로 입금하는 루트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있겠다.

 

1. 빗썸 - 카이카스 (직행버스) 

 

빗썸에서 클레이를 사서 카이카스에 직접 전달

 

요즘 빗썸에서 개인지갑으로 출금이 많이 막혀있는 경우가 많다 보니 

이렇게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되기만 하면 가장 간단한 루트이다.

 

 

2. 업비트 - 바이낸스 - 카이카스 루트 

 

업비트 리플 또는 트론 매수 후 바이낸스 계좌로 출금

 

바이낸스에서 리플 또는 트론을 USDT 로 매도후 클레이 매수 

 

바이낸스에서 클레이를 카이카스 계좌로 출금

 

 

3. 업비트 - 클레이스왑 - 카이카스 루트

 

업비트에서 리플 매수 후 

클레이스왑에서 클레이로 스왑

클레이스왑의 지갑은 카이카스로 연동

 

2번이나 3번이나 총 금액 비교해보니 거의 비슷해서 둘 중에 편한 루트로 가면 될 것 같다.

 

 

위 표에서 왼쪽이 클레이 스왑을 이용할 때 

88500원 거래 시 총 비용은 491원 즉 0.55% 이며 이는 공시되어 있는 슬리피지율과 대동소이하다.

 

오른쪽은 바이낸스에서 구매시 차액인데

약 $0.3 로 총 비용은 0.42% 로 위와 비슷하다.

 

참고로 바이낸스에서 클레이 수수료는 0.005 클레이로 매우 작다.

 

건투를 빈다.

 

반응형
반응형

이어서... 

2부. 디지털 자산, 어떻게 미래를 바꿀것인가.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가 바라보는 

디지털 자산의 가능성

 

변방에서 주류로, 코인베이스의 상장.

 

코인베이스 상장 이후 

미국 디지털 자산 거래소 최초로

크라켄이 은행업 라이선스를 취득

 

2020.11월 기준으로 

비트코인 공급량의 약 60% 가 1년 이상 

이동하지 않음.

 

 

비트코인 현물 ETF 시도 중.

 

카카오제국의 완성, 클레이튼

2018.3월 블록체인 자회사를 설립해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클레이튼을 출시하고

디지털 자산인 클레이 Klay 를 발행.

 

- 그라운드X 를 통해 메인넷(독립 블록체인 네트워크)으로

클레이튼 출시.

 

- 2021. 상반기 기준 70개가 넘는 디앱들이

클레이튼을 통해 개발되고, 

디파이, NFT 등에 활용.

 

- 메인넷 개발의 의미 : 블록체인 기술을 보유함으로써 

자신만의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의미.

 

- 블록생성 시간이 1초로 다른 퍼블릭 보다 빠름. 

 

- 프라이빗도 제공. 2020.12월 신한은행이 닥터론을 

클레이튼 네트워크에서 구현.

 

- 클레이 100억개 발행. 

2021.5월 유통량 24억개. 

 

- 클레이튼은 2020.11월 디파이 전용 플랫폼인 

클레이스왑 KLAYswap 을 출시,

2021.5월에는 NFT 마켓인 

크래프터 스페이스 KrafterSpace 를 베타 버전으로 출시.

 

- 2020.6월에 카카오톡 내에 

디지털 자산 전용 지갑 서비스인 

클립 Klip 을 선보임.

 

- 클레이튼은 한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기도 한다.

 

네이버도 자회사인 일본 법인인 

라인을 통해 블록체인 전문회사를 설립하고

2018.10월에 라인 블록체인을 공개하며

자체 디지털 자산인 링크 LINK 를 발행.

 

- 언블락 : 2018.4월 설립된 라인의 블록체인 자회사. 리서치, 투자 등

- 언체인 : 2081.6월 설립. 자체 디지털 자산인 링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앱 플랫폼을 구축.

 

 

- 링크 : 라인이 독자적으로 자체 발행한 디지털 자산

 

- 라인이 운영하는 거래소 : 글로벌 - 비트프론트, 일본 - 비트맥스

 

- 라인 블록체인은 프라이빗 형태로 운영, 결과물은 3개 디앱에 불과.

그러나 완성도 높은 일종의 킬러 디앱 전선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

 

* 클레이튼은 카카오와 따로 또 같이 전략을 구사하는 반면에

라인 블록체인은 라인 메신저 중심의 전략을 추진 중.

 

페이스북

- 리브라 발표 이후 많은 비판.

- 2020.12월 디엠으로 이름을 바꾸며 새로운 디지털 자산의 출시를 계획 중.

- 디엠 개발 목적 : 전세계인의 안전하고 쉬운 결제 플랫폼

- 기존의 리브라가 달러, 유로, 엔화 등 주요 통화를 묶어서 리브라만으로 전세계 어디서 

결제가 가능한 단일 통화를 지향

- 디엠은 국가별 화폐만 연동.

 

페이코인

- 해외에서 페이팔이 디지털 자산 결제 플랫폼의 신호탄을 쏘았다면,

한국에서는 페이코인이 그 자리 차지.

 

씨파이

Centralized Finance

중앙화된 금융시스템

디파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탈중앙화된 금융시스템을 

재중앙화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씨파이는 디파이를 기본으로 하되

법정화폐와 교환, 연계돼 있는 금융서비스라는 점에서 차이.

- 대표적인 씨파이 : 디지털 자산 거래소, 커스터디, 장외거래 기업 등.

씨파이는 법정화폐를 기반으로 전통 금융과 직접 연결된다는 점에서 디지털 자산시장에

파급력이 크다. 

케이뱅크 - 업비트의 커스터디

 

 

 

반응형
반응형

22.1.3. 현재

 

1. 개요

 1)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2) Play 2 Earn

 3)  총발행수량  : 1,205,750,000 (현재 유통량 : 861,250,000)

 4) 시총 : 1.2조원 (가격 : 1375원)

 5) 상장 : 업비트, 빗썸, 코인원 (93%가 업비트). 즉, 김치코인

 6)  물량의 90%는 상위 12명이 보유

 

2. 합종 연횡

 1) 카카오게임즈의 라이온하트스튜디오(오딘의 글로벌판권을 보유한 회사) 인수

 2) 프렌즈게임즈(카겜의 자회사)의 웨이투빗(보라코인 발행사) 인수

 * 이는 오딘에 보라코인을 붙이기 위한 목적

 

 

3. 카겜 현황 & 클레이튼

 카겜은 자체 체인인 클레이튼이 있으며  NFT 거래소를 설립할 것이라고 선언.

 클레이튼은 싱가폴에 발행사(그라운드 X)를 두고 있다. 

 * 현재 코인 거래가 증권인지 여부 등 규제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을 감안 보라코인을 ERC20 에서 클레이튼으로 이관함

 

4. 이슈

 우리나라에서는 P2E 가 사행성 논란으로 인해 현재 진행 불가 상황

 허용 가능한 동남아 국가에서 수익을 내야하는 상황 (위메이드-위믹스-미르4 와 같이)

 

5. 관건  

 1) 결국은 실적 (카겜의 실적 보아야 함. 실적 안나오면 결국은 대테마에서 사라지게 될 수 있음)

 2) P2E 게임은 결국 재미가 있어야 하며, 돈이 되어야 함 → 이 2가지가 충족되면 선순환 가능

 * 필자는 게임은 안하지만 오딘의 완성도가 높다는 이야기가 대다수 

 3) 또한 생태계를 어떻게 키우느냐에 따라 장기 성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

 * 위메이드는 지금 중소형 게임회사와의 연합 전선 구축중. 100개 연합 목표라고 발표.

 * 카겜은 카카오라는 대기업의 생태계를 어떻게 활용할지도 중요하다고 보임

 

6. 코인가격 관련

 보라코인은 철저히 김치코인이기 때문에 카카오게임즈 주가와 연관이 매우 높은 상황. 

 카겜 주가 분석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 

 비트코인이나 메이저코인 등 시장영향을 받기야 하겠지만  아주 흔들지만 않으면 개별주식처럼 움직일 수 있는 이유.

 세력이 대부분 우리나라에 있을 것이기 때문.

 오늘 급 상승(+15%) 역시 이렇게 해석됨.

 

7. 비교 대상 : 위메이드의 위믹스 코인

 1) 발행 : 10억 위믹스

 2) 시총 : 1.4조로 유사

 3) 개발 : '20.6.17. Wemade Tree Pte. Ltd.

반응형

'재테크 >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리즈 (CHZ) 분석 #1  (0) 2022.01.04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3  (0) 2022.01.04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2  (0) 2022.01.03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1  (0) 2022.01.02
믹스마블 (MIX) 분석 #1  (0) 2021.12.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