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ST 에 이어 스테이블 코인의 수난시대인가.

 

USDT 도 불안하다는 뉴스가 도배를 하고 있다.

 

뒤에 받쳐주는 이가 없으니 

 

정말로 정확히 요구불예금처럼 요구를 했을때 환전이 어렵다면

 

 

이제는 다 위험하다고 평가하는 모양새다.

 

테더의 마지막 준비금 공개시점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

 

현금 약 42억 달러(약 5조3340억 원),

만기 3개월 미만인 단기 미국 채권 345억 달러(약 43조8150억 원),

상업 어음 242억 달러(약 30조7340억 원) 등

 

현금과 미국 채권은 오케이다.

 

그런데 상업어음은 약간 잘 모르겠다는게 중론이다.

 

그래서 최근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 붕괴 사태로 투자자들이

 

세계 최대 규모의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에서

 

일주일만에 70억 달러(약 8조8886억 원) 가량의 자금을 인출했다고 외신이 17일(현지 시간) 보도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테더의 순환 공급량은

 

일주일 전 약 830억 달러(약 105조 원) -> 17일 760억 달러(약 96조 원) 미만으로 감소

 

아직 최근 준비금이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있어서 

 

전체 공급량과 준비금을 비교할 수는 없어서 

 

뭐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불안감이 불안감을 낳는다고

 

이 불안감을 빠르게 잠재우지 못한다면 

 

UST 와 같은 사태가 벌어지지 않으리라는 법도 없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를 위해 

 

불안하다면 비용을 조금 지불하고 

 

숏을 사는 방법도 있겠다.

 

지금 USDT 숏이 가능한 거래소는 FTX 이다.

 

어짜피 USDT 선물이 현물 대비 1 이상으로는 오르지 않기 때문에

 

불안하면 1배 숏으로 대응할 수도 있겠다.

 

1배 숏은 그냥 현물의 헷지이다.

 

즉, 떨어지면 현물에서 손해가 발생하는데

 

선물에서 이익이 발생하므로

 

 

서로 상쇄가 되는거지.

 

1배 이상부터는 

 

숏으로 이익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이때의 기대값은

 

USDT 가 떨어지는 량 * (레버리지 배수 - 1) 이다.

 

왜냐하면 1 을 빼는 것은 

 

현물을 보유하고 있기때문이다.

 

항상 안전한게 좋은 것 같다.

 

그럼 이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 그리고 조금 도움이 되었다면 광고 한번씩만 눌러주면 고맙겠다.

 

 

반응형
반응형

UST 선물 15분봉 차트이다.

 

UST 는 루나와는 다르게 무한정으로 물량이 풀리지는 않았다.

 

다만 최근 도권이 발표한 테라 2.0 에도 

 

UST 와의 페깅은 빼버렸다.

 

그래서 사실상 가치는 없을 확률이 높다.

 

 

그리고 

 

통과되지 않은

 

보상안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체인이 만들어지면 이뤄지는 분배내용

-40% ust 1달러 페깅이 깨지기전 Luna, bLuna, LunaX등 홀더들에게 배분

-40% 새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시기에 비례하여 UST홀더에게 배분

-10% 체인 정지 전 Luna 홀딩중이었던 홀더들

-10% 커뮤니티 개발자금

UST 관련해서는 

즉, 페깅은 이제 없으므로 

 

테라 2.0 성공여부와 관련없이 

 

 

낙동강 오리알이 된다.

 

그러나 마지막까지 보유한 홀더에게는 보상 

 

* 단, 얼마나 보상인지는 미지수

 

그래서 그런지

 

위에 1, 2, 3, 4, 5 

 

무빙은 금액으로 보면 매우 미미하지만

 

퍼센티지로 보면 

 

 

1 : 300%

 

2-5 : 20%~40% 수준이다.

 

이렇게 초급등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추측컨데 

 

위에 설명한 보상안 때문만은 아닐것 같다.

 

여기에는 

 

이러한 심리를 이용한 

 

선물 세력들이 있지 않을까 싶다. 

 

즉, 대부분 하락할 것이라고 다 알아서 

 

 

하락에 고배율 배팅 금액에 대해

 

약간의 상승 무빙을 이용하여 

 

모두 청산시키는 전략이라던지 말이다.

 

그래서 혹시라도 루나급으로 

 

빠르게 하락을 예측하고 하방 배팅을 하신다면 

 

조금은 조심할 필요가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왜냐면 지금 호가창이 매우 얇아서 

 

작은 금액으로도 쉽게 올릴 수 있는 것으로도 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참고로 다음은

 

 

앵커프로토콜에 락업되어 있는 UST 이다. 

 

결국은 매물로 나올 확률이 있는 금액으로 보인다.

 

 

참고하길 바란다.

 

반응형
반응형

온라인으로 열린다. 

 

마켓의 흐름을 읽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잠깐 소개한다. 

 

 

스피커들인 쟁쟁하니

 

궁금하기도 해서 등록해보았다.

 

 

스피커

 

바이낸스 청팡자오 

 

마이클 세일러

 

폴리곤 파운더

 

 

샌드박스 코파운더 세바스티안

 

1인치

 

트러스트월렛 CEO

이외에도 매우 많은 

 

스피커들이 있다.

 

재밌겠다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
반응형

내가 봤던 호가창 중에 가장 드라마틱한 호가창이라 

 

캡처해둔다. 

 

 

한 호가창 당 100% 라 싸게 사두고 한 틱만 먹으면 100% 

 

그러나 곧 상폐되기 때문에 

 

못 팔면 결국 100%를 잃는 

 

어찌보면 그냥 도박이다. 

 

 

방금 한 호가 위에서 거래가 체결되었는데

 

이를 잽싸게 캡처하였다.

 

약간은 실소가 나온다.

 

아직도 이게 거래되고 있다는게 놀랍다.

 

수수료 때문이겠지만

 

여기에 달려드는 투자자들은 또 무엇인가.

 

 

기적적으로 살아나면

 

엄청난 부를 이룰거라는 희망때문일 수는 있겠다.

 

그러나 이미 유통량이 어마어마하게 풀렸고

 

상폐가 줄줄이 이어지고 있어서

 

주식시장의 마지막처럼 불꽃쇼가 일어나기는 어려울 것 같은데 

 

모르겠다 또 코인시장에서는

 

어떠한 극적인 이벤트가 연출이될지 내가 속단하기는 어려울 것 같기는 하다.

 

다들 자기만의 기준이 있으려니 한다.

 

 

그래도 오늘은 이 드라마틱한 루나를 얼마 있으면

 

보지 못할 것이라는 것 때문에

 

미리 캡쳐해둔다.

 

참고로 

 

네이버 카페에는 

 

루나 피해자 모임까지 구성되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루나가 다시 살아나기는 어려울것처럼 보인다.

 

 

 

반응형
반응형

거래소 순위는 그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물론 기준이 달라져도 압도적 순위는 존재하기 마련이긴 하지만.

 

 

먼저, 현물 기준

 

1-10위

 

 

한국에서는 이중 주로

 

Binance, FTX, KuCoin, Huobi, Gate.io. Gemini 정도를 사용하는 것 같다.

 

11-20위

 

 

Crypto.com 이 보이고

 

16위에 빗썸이 있다.

 

17위부터는 조금 친숙한 LBank, OKX, Bybit, MEXC 가 잇따라 나온다.

 

21-30위

Poloniex, Upbit 가 보인다.

 

한국에서 또 자주 사용하는 Bitget 은?

 

 

53위에 위치해있다.

 

그럼 다음에는 선물 시장 순위를 알아보겠다.

 

 

반응형
반응형

매일 뜨겁게 달구었던 루나 테라

 

이제 서서히 마무리 되어 가는 중으로 보인다. 

 

가끔 올라오는 도권의 트윗이 있기는 하지만.

 

 

현황

 

1. 루나 가격 거의 0 : 상장 폐지는 안됨

 

2. UST 약 0.1 부근

 

3. LFG 재단에서 비트 사용처

 

루나 가격 방어를 위해 사용했다고 발표

 

- 커뮤니티에서는 믿지 않는 분위기 (증거가 없으므로)

 

4. 도권 새로운 루나를 만들겠다는 언급

 

 

 

그런데

 

먼저 루나, 테라로 인한 피해자가 정말 어마어마하게 많은데

 

그리고 UST 페깅 없이는 

 

지금까지 쌓아올린 테라 생태계는 사상누각에 불과할텐데

 

투자자들에게 사죄를 하고

 

현재 비트 보유량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를 한 다음

 

UST 페깅에 전력투구를 해야 할텐데

 

대응이 조금 아쉽다.

 

 

루나, 테라로 인해 

 

같이 물린 큰손들 

 

예컨대 바이낸스 장펑차오나 해시드의 김서준 

 

이런 사람과 함께 

 

도움을 받아보거나 해서 페깅을 시켜보는 것은 어떨까도 

 

생각해봤다.

 

하지만, 하지만, 하지만,

 

페깅을 시켜놓은다치더라도

 

이를 어떻게 유지시킨다는 말인가?

 

다시 공격들어올텐데

 

 

근본적인 문제가 있기때문이말이다.

 

어렵다. 어려워.

 

그게 루나라고 말했지만 

 

실패했고

 

다른 어떤 코인을 들고와도 이제 믿어줄 사람이 있을까 의문이다.

 

밈코인인 머스크의 도지코인도 안되는 마당에 말이다.

 

그래도 계속 최선을 다해서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란다.

반응형
반응형

USDD 가 현재 APY 30% 를 내걸고 있는데

불안불안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UST 가 18% 로 하다 

나락 간 상황이라

트론 생태계도 적잖이 긴장하고 있을텐데

 

 

역으로 생각하면

지금이 또 기회라고 여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지속적으로 40%를 준다는 이야기는 아니고

프로모션 차원에서 1주일간 진행한다.

 

지금 USDD 가격은 안정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UST 테라 루나 사태로 인해

비트가 급락하였을때 

모든 스테이블 코인이 흔들렸을때 대비해서

 

 

지금은 1 보다도 조금 높은 상태이다.

 

다만,

투자자들이 불안해서 

아무리 APY 를 높게 줘도

알고리즘이라는 말이 들어가면 이제는

쉽게 손이 가지는 않지 않을까 싶다.

 

위 40% 이벤트는 Poloniex 거래소인데

할인코드가 필요하신 분들은 이 블로그의 Poloniex 관련글을 찾아보기 바란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루나 사태를 보면서 

많이 더 느꼈다. 

빠른 판단력은 보더 준비된 자에서 나오는 것이며

결국 이로 인해 부가 실현이 되기도 한다.

 

이번에

부를 얻었던 사람들은 

2번의 기회 중 하나를 살린 분들이다.

 

 

1번.

 

도권이 트윗으로 

UST 를 살리기 위해

루나를 양적완화처럼 무제한 발행해서 살리겠다고 했을때.

 

루나는 미국 달러화처럼 기축통화가 아니다.

쓸모도 달러화에 비교가 안된다.

 

그래서 루나 가격은 0 이 되었다.

이를 간파한 분들은 편안하게 루나 숏으로 인생한방을 실현하셨다.

 

 

2번.

 

1번 분들이 탄생했을때 괴로워하고 있었을때 

두번째 기회가 찾아왔다.

아주 짧은 시간이었지만

국내거래소에 루나 김프가 어마어마했을때 

안되던 입금이 잠깐 되었을때가 있었다고 한다.

 

이 순간 200만원을 루나로 바꿨을때

한화 60억원이 되는 마법을 경험하신 사례가 항간에 떠돈다. (물론 진의확인은 못해봤다.)

 

 

가두리 양식으로 인해

아직도 1300원대이다. 빗썸에서는.

 

그러나 곧 상폐되겠지.

 

3번.

 

그리고 UST 숏. 

어제 도권의 회생방안으로 약간 반등은 하였지만

아무리 생각해봐도 

지금 UST 가 페깅이 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게 일반적인 의견이다.

왜냐면 이미 0.1, 0.2 이런때 샀던 분들이 어마어마하게 많고

선물도 들어가 있고 하기때문에

그냥 단순히 지금 circulating supply 를 다 살 수 있는 금액이 있어도 쉽지 않아보인다.

 

지금 유통물량이 11.2B UST 이다.

약 14조원이다. 

 

 

 

그리고 도권이 말한 비트 보유량 (다 채웠는지는 모른다.)이

약 그정도이다. 

아래로 보면 약 $4B 정도 보유량이다.

 

따라서 우군이 없다면

산술적으로 페깅은 쉽지않아보인다.

그리고 지금 대중의 분노나 신뢰가 깨진상태라서 더욱더.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르면 또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의견이 있으나

상폐라는 위험이 또 있기도 하다.

 

숏으로 인한 위험은 제한적이다. 

왜냐면 이성적으로 1달러 이상 가지는 못할테니까 말이다.

 

 

아마 지금 현재 3번만이 남아 있는데 세력들이 가만히 둘까라는 생각도 해본다.

그리고 시타델 숏 물량이 다 정리됬는지도 모르고.

따라서 로또 사는 기분으로 하면 된다. 

 

오늘 5.15일 스승의날 오후 6:30 분 기준이다. 

 

* 투자의귀재 후원계좌

카카오뱅크 3333-21-1845824  

 

반응형
반응형

일단 현시점에서 

 

루나는 끝났고 UST 는 아직 죽지는 않았다. 가격적인 측면에서 말이다.

 

그런즉슨 

 

루나를 불쏘시개로 UST 를 살리려 했으니까.

 

 

그리고 항간에 떠도는 시타델 개입설이 어느정도 맞는 것 같다. 

 

이제는 시타델의 숏물량 청산구간에 진입하지 않았나도 생각된다.

 

그리고 도권의 최근 대응책

 

The Terra community must reconstitute the chain to preserve the community and the developer ecosystem.

Validators should reset the network ownership to 1B tokens, distributed among:

  • 400M (40%) to Luna holders before the depegging event (last $1 tick before the depeg on Binance should be reasonable), bLuna, LunaX and Luna held in contracts should also be recipients, minus the Terraform Labs account at terra1dp0taj85ruc299rkdvzp4z5pfg6z6swaed74e6. The new chain should be community owned. Preserving decent ownership of the network in its strongest believers and builders is important.
  • 400M (40%) to UST holders pro-rata at the time of the new network upgrade. UST holders need to be made whole as much as possible
  • 100M (10%) to Luna holders at the final moment of the chain halt – last minute marginal luna buyers should be compensated for their role in attempting to provide stability for the network
  • 100M (10%) to the Community Pool to fund future development.
  • All Luna besides the third tranche should be staked at the network genesis state.
  • The network should incentivize its security with a reasonable inflation rate, say 7%, as fees will no longer be enough to pay for security without the swap fees.

요지는

 

새로운 코인 개발할거야. 

 

지금 이 체인은 가치가 있어.

 

그리고 내가 미안했어. 

 

나로 인해 피해본 사람들에게 보상해주려는 방법을 찾고 있어.

 

 

이정도이다.

 

그냥 러그풀은 아닌 것이다.

 

러그풀은 본사람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싹 다 지우고 나르는 것이다.

 

지금까지 정황상

 

도권은 미숙한 운영 (가장 큰 실책은 자기 비트 매수 평단가 공개)

으로 

 

위기에 빠져서 나락간것이다.

 

너무 큰 성과에 취해있었던게 아닐까 싶다.

 

그런데

 

이제 피해자가 이렇게 많은데

 

이를 다 구제해줘야 신뢰가 회복될 것 같은데 가능한 일일까? 

 

아무튼 과거는 과거이고

 

지금은 계속 노력은 하는데 시장 반응은 

 

 

이제 루나사태 종료됬으니

 

루나는 잊고 다시 잘해보자이다.

 

거기에 도권은 계속 아직 안죽었고 잘 해보겠다라는 메시지를 남기는 것이고

 

가장 궁금한 

 

LFG 즉 재단측에서 보유한

 

비트코인의 향방이다.

 

이 물량이 어디갔는지는 아직 밝히지 않았다.

 

도권이 살고 싶다면 재기하고 싶다면

 

그 패는 끝까지 밝히지 않았으면 좋겠다.

 

물론 투자자 입장에서는 알고 싶겠지만 말이다.

 

 

이 정글보다도 더한 곳에서 

 

하고 싶으면 여우처럼 일론 머스크처럼 sns 를 이용해야지

 

이를 통해 자신의 패만 노출되는 건 좋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어제 파일론에 스테이킹한 UST 물량에 대해서는

 

모두 언스테이킹을 해주겠다고 결정했다한다.

 

 

UST 가격은

 

도권이 계속 이것저것 트윗으로 인한 약간의 기대감

 

+ 시타델 숏 물량 청산 등으로 인해 

 

 

약간 반등하고 있기는 하다. 

 

현재 0.2 달러.

 

반응형
반응형

비트코인이 초창기에 어떤 움직이었는지 직접 보지는 못했지만

 

RSI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를 의미하며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주요 보조 지표중의 하나이다.

 

RSI는 가격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데

 

70% 이상을 초과매수 국면으로,

 

30% 이하를 초과매도 국면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RSI가 70%를 넘어서면 매도 포지션을,

 

30% 밑으로 떨어지면 매수 포지션을 취하는 방식이 있다.

 

 

다만 이 경우 대부분의 오실레이터 형 지표가 그렇듯

 

초과매수, 초과매도 국면에서 오래 머물며 추세가 연장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전략만으로는 이익을 내기 힘들다는 맹점이 있다고 한다. (위키피디아)

 

* 따라서 이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전략으로

RSI가 70%를 넘어선 후 머물러 있다가

다시 70%를 깨고 내려오면 매도를,

RSI가 30% 밑으로 내려가 머물러 있다가

다시 30% 이상으로 올라오면 매수하는 방식으로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RSI 가 역대급으로 낮아진 시점이다. 

 

이러한 RSI 를 보고 투자를 해라라는게 아니라 그냥 그렇다는 것이다. 

 

너무 패닉되지 마라고.

아래 동그라미를 쳐놓았다.

 

2020년 이래로는

 

2020. 4월경에 한번

 

2021년 5월에 한번

 

 

그리고 2022년 초에 한번 

 

그리고 지금이다.

 

그리고 그 이후 대상승이 나오거나 중상승이 나왔다.

 

주봉으로 보면 동기간에 30 미만은 없었다.

다만 2020년 4월 부근 수준까지

 

떨어진

 

역대급 과매도 시점으로 보인다.

 

나도 안다. 

 

지금 정말 매수 버튼이 안눌러진다는 것을

 

그런데 지금 같은 시점을 기다렸던 사람들도 있지 않았을까싶다.

 

사람들은 비트 5만일때

 

 

3만이 오면 몰빵했어야는데 라고 한다. 그 가격만 와준다면 하고 말이다.

 

근데 이말을 바꾸어보면

 

3만이 오려면 

 

1. 역대급 인플레이션이 있어야 했고

2. 그래서 매우 가파른 금리인상이 있어야 했고

* 이때 성장주들은 다 나락가고

3. 러시아 전쟁이 있어야 했고

4. 그리고 그 때 마침 정확한 시점에 루나 사태가 터져서 모두 패닉에 질리게 되면

 

나는 몰빵하겠다는 말과 동일하다.

 

왜냐면 위 4가지가 없었으면 

3만이 안올테니까

 

지금 김프는 4% 미만으로 내려왔고

주요 거래소 롱숏 비율은 숏이 1% 정도 더 많다.

 

투자에 참고하도록 하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