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크립토닷컴은 

10위권 이내의 거래소는 아니지만,

가장 핫한 거래소 중의 하나로

급부상하고 있다.

 

스테이킹도 비트코인이 가능하고. 

 

최근 LA 의 그 유명한 스테이플스센터 이름이 크립토닷컴으로 바뀌었다!

돈이 도대체 얼마나 많은걸까. LA 에 있었을 때 완전 다운타운의 한 중심이라

엄청난 돈이 필요했을텐데.

 

크립토닷컴에서 발행한 코인이 크립토닷컴체인(CRO)이다. 

 

비자카드와 제휴해서 비자 직불카드를 만들었는데

크립토닷컴코인을 현금처럼 

사용하게 해주었다. 

나는 아직 써보지는 않아서 뭐라고 말하지는

못하겠다. 

CRO 코인으로 페이백을 해준다고 한다.

 

* 카드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CRO Staking 수에 따라 등급이 결정된다고 하는데

아직 여기까지는 해보지 않았다. 

 

 

 

가입방법을 설명해보면.

 

링크를 통해 가입하면 바로 현금으로 $25 입금된다. 

 

순서대로 정리해두었다.

 

1. Sign Up 누르기

 

2. 각종 정보 입력하기 

Referral Code : p3efdmgdqn 

Referral Code 를 입력해서 $25 가 입금된다.

(입금된다고 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뒤에 설명함)

 

3. 이메일 + 핸드폰 인증하기 : 이메일에 가서 번호 확인 후 입력 + 핸드폰 인증

4. 신분증 인증 : 여권,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중 선택

 

5. 운전면허증과 종이에 글을 써서 들고 있는 자기 사진 찍어서 올리기 

 

 

 

그럼 조금 후에 가입승인 이메일을 받아볼 수 있음!

 

* 참고로 가입이벤트 $25 를 사용하려면 (즉, unlock 하기 위해서는)

최소 785 CRO (USD 500)를 스테이킹해야 한다. 

 

CRO 코인은 지금 가격이 500원 중반대이고

코인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 중에 있으니 기다리면 500원도 내려올 것 같기도 하다.

이율은 3개월에 연 6% 이니 $25 도 받을 겸 겸사겸사 스테이킹해봐도 나쁘지는 않을것 같다.

최소 스테이킹 단위는 500 CRO 이다.  

 

CRO 코인 가격

반응형
반응형

1. 코인 시장이 전체적으로 급락한 

파월의장의 금리 인상 관련 발표 시점 이전까지

FTT 역시 

지속적으로 하락 

아래 차트 화살표 부근.

2. FTT 는 거래소가 지속적으로

IEO 를 통해

가격 부양이 가능하다는 판단아래

 

 

3. IEO 도 참여해볼 겸 (PSY 코인)

4개월여만에 나오는 공모이다. 

1.7일부터 분할로

35.8, 36.3, 41, 41.5, 43.4

가격에 매수

 

* Rationale 은 고점대비 50% 하락이며

향후에도 IEO 에 참여를 하기 위해

FTT 추가매수 생각이 있기에

그리고 패닉셀이 나온 이 시점이

단기에 나쁘지 않은

매수 시점이라고 판단

혹시 IEO 직후 헷징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그 즈음에 숏을 걸면 되겠다. 

 

* FTX 가입 방법 및 이벤트

https://investors4u.tistory.com/30

 

FTX 가입 이벤트 ('22.1.3.-17. / 10 SAND 추첨)

FTX는 글로벌 상위 거래소로 특히 메타마스크로 이더리움 Transfer 할 때 Gas 가 적게 들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나라면 바쁘지 않은 이상 업비트에서 직접 메타마스크로 보내지는 않을 것

investors4u.tistory.com

 

4.  IEO 를 위해서는

1) IEO 써브 계정을 만들어서 1티켓당 5 FTT + 600 USD 를 입금

2) 메인 계정에서는 1티켓은 150 FTT 를 2티켓은 290 FTT 등등 스테이킹 

하면 된다.

굳이 메인 계정에서 스테이킹을 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써브 계정에서 해도 

합산하여 계산한다고 나와 있다.

Stats are summed across all your accounts.

 

 

PSY IEO 

 

5. 한국시간 1.18 오후 10시에 비딩 참여 

비딩에서는 

밑에 Place or edit bid 를 누르고

가장 맥시멈으로 다 입력하면 되겠다. 

Ticket 수 / 0.12 / 티켓 당 5 FTT (티켓이 2개면 10 FTT 와 1200 USD 를 예치해두어야. )

 

6. 참고로 FTT Staking 한다고 해서

FTT 를 더 받는건 아니다. 이율 없음.

(이자 준다는 내용은 안보임)

 

 

FTT 스테이킹 혜택은 

1) 수수료 감소는 말 그대로 FTT 코인 보유 수량마다

선물거래소 수수료를 줄여줌

2) IEO 티켓은 FTX거래소에서 진행하는

유망 코인 프리세일(공모주 청약)에 참여

3) 세럼 에어드랍은

스테이킹 해놓은 FTT코인 500개마다

매주 3개의 세럼 코인을 지급

* 업비트에 상장되어있는

3800원짜리 코인 세개를 주는것   

4) ERC20 계열 및 이더리움 출금 수수료 무료

(FTT 스테이킹 개수에 따라 무료 출금건수가 달라짐)

 

세럼 코인

 

반응형
반응형

'22.1.14. 밤. 

 

이번 논란과 관련해서 대표가 유튜버 알고란 방송에 나와서 이야기를 했다. 아래 링크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ifhYOYIIGRs 

장현국 대표 위믹스 매도 논란 답변 영상

 

 

이렇게 대표가 유튜브에 나와서 직접 이야기한다는게 참 낯설다. 

그리고 며칠만에 대안을 가지고 나왔다는 것도 낯설다. 

 

인터뷰 내용 중 중요하게 들리는 사항으로는

상반기 중 매달 위믹스(WEMIX) 1000만 개 씩을 시장에 추가로 풀 계획


* 1분기 중 WEMIX의 유통량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고 한다.

1월 31일 기준 1억5821만개로,

2월 28일 기준 1억6796만개로,

3월 31일 기준 1억7777만개로 확대할 예정

 

시장이 아직은 한국 밖에 없는데

한국 투자자가 모두 이 물량을 받아줘야하는 상황이라고 보이는데. 

물량을 받아도 계속 물량이 나오면

다들 저가매수하려고 하지 않을까 생각도 되는데.

 

 

인터뷰 17분 정도에 보면

사회자 질문이 기존 홀더들의 이득은 무엇이냐?

대표의 답변은 향후 장기적으로 생태계가 갖추어질 때 위믹스의 가치를 보자. 

 

보통 코인 가격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스테이킹 이자율을 높이고 각종 혜택 지급 +

일정부분 계속 지속적으로 소각시킨다.  

또는 다른 디파이 방안을 마련해서 

어떻게든 투자자들을 떠나가지 않게 한다.

 

며칠전 업비트에 상장해서 다행이 위믹스 가격은

5천원대에서 다시 9천원대로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다른 보다 강력한

무언가가 지속적으로 나와야

저 천만개 지속 발행을 

이겨낼 수 있을텐데.

 

투자자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반응형
반응형

'22.1.12. 새벽. 어제는 위믹스가

업비트 상장으로 반등을 했지만 이와는 별개로 슬픈 저녁이다. 

 

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 

작은 기업이 큰 기업이 되는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기업은 사람, 기술, 자본을 3 요소로 한다. 

좋은 기술을 가지고 자본을 얻어서

사람이 운영을 하여 성장을 한다.

 

 

나에게 누군가 이 중 가장 중요한 요소가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결국은 사람이라고 말할 것 같다.

 

기술이 좋은 기업이 처음에 잘 나갈거다.

그리고 자본도 몰리겠지. 

그리고 경영자나 오너는

여기에 모멘텀을 얻고 여러가지 꿈을 더 꾸겠지.

그리고 거기에 심취에 실수를 한다.

 

그 실수는 너무나도 다양한데

그 중하나는 시장과의 신뢰일 수 있다. 

 

자본시장에서 시장과의 신뢰는 너무나도 중요해서

한번 손상되면 다시 회복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

(많은 사람들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위믹스를 떠난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작은 기업이 기술이나 자본이 있어도

큰 기업이 되지 못하고 다시 나락으로 떨어진다.

 

즉, 몇 명이 모여서 만든 기업이 조직이 되고

그 조직이 괜찮은 조직이 되는게

얼마나 힘든일인지 다시 생각을 해본다.

(여러의견이 있겠지만,

이런 측면에서는 예를들어, 삼성그룹이 이러한 큰 조직을 지니고

운영한다는게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된다.)

 

이런 사이클은 너무나도 흔해서 큰 감흥이 없을 수도 있지만

나에게 이번 위믹스 사태는

위메이드가 내가 관심있게 보고 있었던 기업이라서

정말 아쉬웠다.

 

혹자는 법에 저촉이 안되고

백서에 관련 내용을 실어두었으며

크게는 사익을 위한게 아니라

기업에 필요한 자금을 위해서라고 말한다.

 

 

그래도 뭔가 아쉬운것은 어쩔 수 없다.

다음날 대표의 인터뷰도 보았고

다 맞는 말이다. 자금이 필요하니

 

자금을 사용하여 위믹스 생태계를 넓히고

위메이드의 성장을 이끌고.

 

그러나 위믹스 기존 홀더들은

어떤 기분일까도 생각해본다.

스테이킹 이율도 10% 미만이라고 하던데.

 

아무튼 여러가지 생각을 해본다. 

 

오랜만에 미국의 잘나가는

나스닥 유니콘 기업들이 부러워지는 밤이다. 

 

 

 

 

 

반응형
반응형

'22.1.10. 저녁 8시 현재

 

위믹스 급락 / 위메이드 시외 하락 -

급락은 과하고 시외 하락은 조금 이상하다

싶어 찾아보니

유튜버 중 존버남이라는 분의

영상이 시장에 파급을 미친것 같다.

 

지금은 그 영상이 삭제되었다고 나오는데

정확한 진위여부가 밝혀지면 좋겠다.

 

진위여부는 조금 시간이 걸릴 듯하니

간단하게 무엇이 이슈였는지

학습차원에서 이슈만 간단히 살펴보려고 한다. 

 

전반적인 코인 시장 하락과 더불어 오늘은 큰 뉴스가 나왔다.

뉴스라고 해야할 지는 모르지만 

 

 

코인 유뷰버분께서

그동안 위믹스에 들리는 위믹스 매각하여

인수 자금 동원의 진위 여부를 알아보러 

오늘 회사에 직접 방문하였는데

회사 관계자가 그 소문이 맞다는 식의 답변을 하였다고 한다.

 

요약하면 앞으로도 위믹스 코인을 팔아서

사업자금을 조달하겠다는 답변으로 보인다.

(지금 그 유뷰브 클립은 안보인다.) 사실이 아니길 바란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04646632195096&mediaCodeNo=257&OutLnkChk=Y 

 

[줌인] 블록체인 게임서 ‘콜럼버스’로…위메이드, 조 단위 투자 의지

위메이드(112040)가 올 한해 조 단위 투자 의지를 드러냈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6일 이데일리와 신년 인터뷰에서 “크고 작은 M&A(인수·합병)를 엄청나게 추진한다. 수조 단위일 것”이라며

www.edaily.co.kr

* 기사 내용 : 블록체인 관련 투자 재원은

주로 위메이드가 발행한 위믹스 토큰에서 조달한다.

총 발행량 10억개 토큰 가운데 7억4000만개를

생태계 활성화 투자에 사용할 수 있다.

6일 위믹스 토큰 가격은 9800원대. 어림잡아 7조원 규모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악재로 보인다.

위믹스 코인의 투자자와의 보이지 않는 신뢰가 손상된게 아닐까 싶다.

자본시장은 신뢰가 중요한데

왜냐하면 모든 장치를 다 하나하나 감시할 수도 없고

회사를 하나하나 다 계속 보고 있을수도 없으니

어느정도는 믿고 투자하는 그런게 있는거다. 

 

아마 투자자들은 위믹스 발행량은

향후 코인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고려를 해서 

 

시장이 확대될 때 등등을 이용하여

발행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 않았을까?

 

예를들어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을 한다던지 등등

 

그리고 사업에 필요한 자금은

보통 채권을 발행하거나 주식을 발행하는 방법을 통해서 하는게 일반적인데... 

백서에 나온 이야기와 회사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판단해야겠다.

하지만 코인 시장은 이미 반응해서 급락하고 있다. 

 

 

아직 코인 시장이 주식 시장과 같이

여러가지 안전장치와 같은 제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여러가지 허점들이 있을 수 있으나

이제 막 태동하는 우리나라 대표 P2E 게임회사라는 점이 더욱 안타깝다. 

 

다시 투자자들을 안심시킬 수 있을 만한

회사 답변이나 기사가 나오기를 희망한다. 

 

반응형
반응형

FTX는 글로벌 상위 거래소로 

특히 메타마스크로 이더리움 Transfer 할 때

Gas 가 적게 들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나라면 바쁘지 않은 이상 업비트에서

직접 메타마스크로 보내지는 않을 것 같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국내거래소 - FTX - 메타마스크

가장 괜찮아 보인다. 수수료 측면에서. 

 

이런 뉴스도 있으니 중간에 해외거래소가 있어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외부지갑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http://news.tf.co.kr/read/economy/1910548.htm 

 

이왕 가입하는 김에 

이벤트 기간에 하면 당첨이 안되더라도

기분이라도 좋지 않을까 해서 포스팅한다. 

 

요약하면...

'22.1.3.-17.까지 2주간 1만명에게 랜덤으로

다음 4개 조건을 모두 충족시 10개 SAND 코인 지급  

 

4개 조건

1) 신규가입 + Level 2 인증

* 가입은 메타마스크로 연동해서 할 수 있으며

* 신분 인증은 한국의 경우 주민등록증, 운전명허증, 여권으로 할 수 있다. 바로 인증이 된다. 

* OTP 는 구글 OTP 를 다운받아 연동시키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기간내 1 SAND 이상 거래

* 나의 경우 빗썸/ 업비트에서 리플 구매 - Transfer - 리플 매도 / USD 구입 - SAND 구입 

* 정확히 1 SAND 를 구입하면, 0.9999 이렇게 수수료 차감되고 구매되니 혹시 모르니 1.1 정도 구매하는게 안전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 지금 '1.7 저녁 가격은 USD 4.9856 이고, 아래 SPOT (현물)을 눌러서 사야한다. 왼쪽의 FUTURES 는 선물이다. 

3) Sandbox 가입

https://www.sandbox.game/en/auth-ld/?utm_source=ftx&utm_medium=display&utm_campaign=enter-the-metaverse 

4) 구글폼 작성

https://docs.google.com/forms/u/0/d/1U8ppxLsW3gHBkjyN3bn1GOMcGKMDuE3zf8AcrXEJRX4/viewform?edit_requested=true 

* UID 는 자신의 Referal 에 나와 있는 "=" 다음의 숫자들을 적으면 된다.

 

 

할인 코드는 수수료 5%이며 찾아본바로는

지금시점에는 5%가 최대로 보인다. 

https://ftx.com/profile#a=75754351

이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수수료 할인이 적용된다.

뒤에 있는 숫자 75754351을 Referal Code 에 입력해도 된다.

(추천인에게도 아주 약간의 혜택이 주어진다. 고맙습니다.

아직 한번도 Referal 을 받아본적이 없어서 어느 정도 혜택이 들어오는지는 모르겠다.)

당첨되면 1.31에 지갑으로 입금된다고 한다. 

 

반응형
반응형

'22.1.5. 현재

 

위메이드와 위믹스는 같이 분석하는데 여기서는 위믹스를 보다 포커스해보려고 한다. 

 

위메이드는 우리나라 대표 성장주인데 지금 주가 급등락에 신경쓰는 것은 의미 없다고 생각한다.

오직 성장이 지속되는지 여부만 체크해보면 된다.

과거 수많은 성장주들을 보면 알수 있다. 성장만 된다면 지금 주가는 최저점이다.

 

위메이드 분석 대신 위믹스를 분석하는 이유는 위믹스가 Key 이기 때문이다.

 

1. 시총 1.3조원

2. P2E  게임아이템 거래소 기능 제공

3. 발행 2020. 6. 17. 싱가포르 Wemade Tree Pte. Ltd.

4. 대표 인터뷰 ('21.11.18.)

 

https://www.youtube.com/watch?v=1VOXgO3FJ7U

(중요 메시지 요약) 꼭 읽어보기 바란다.

 

모든 게임회사는 우리의 고객이며,

블록체임회사는 우리의 파트너라고 생각함.

게임업계에서 일한지 26년째인데,

지금까지 한국 게임업계에서 성공은 게임의 성공이었다고 생각함,

위메이드의 계획은 마켓 및 게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글로벌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것이고

실제로 실행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 보람을 느끼고,

직업적 소명이라고 생각함.

 

---

내년까지 100개 온보드 시키겠다고 했는데,

100개를 해야 노하우가 쌓이고 오픈 플랫폼을 갈 수 있다고 생각해서

선언적으로 이야기 한것이었음.

지금은 실행가능성이 충분히 가능해 보임.

계약 속도 및 위믹스팀 및

각 게임개발팀과 협업 속도를 감안하면 충분히 가능할 것.

단기적으로 내년 1/4분기 내 10개 이상

온보드 될 거 같고 몇몇 회사는 올해안에 하려고 노력중임.

---

p2e라는 패러다임 쉬프트는 위메이드가

먼저 만든 것도 아님.

세상이 변해가는 큰 흐름이라고 봄.

누가 비판하고 방해한다고 안될 가능성은 0프로라고 생각함.

거대한 흐름을 누구도 막을 수 없음.

그 흐름을 양질의 성장으로 만드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고 생각함.

---

국내법에서 게임 내 재화가 밖으로 나오면

그것을 사행이라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심각한 의문이 있음.

게임법의 사행성 규정자체가 바껴야하는데,

거기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없으므로,

이 부분이 바뀌는데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 생각함.

하지만 언제든지 바로 서비스할 준비는 되어 있음.

---

위믹스를 게임계 기축통화로 하겠다고 했는데,

위믹스 총발행량(10억개)은 이미 정해져있고 발행되어있음.

매년 3프로 정도 블록을 생성하는데

참여하는 파트너들을 위해서 제한된 수량으로

3프로 정도 증가하는 것은 있음.

발행된 10억개 중 84프로 정도를

위메이드 자회사를 통해 보유하고 있음.

지금은 비즈니스 모델이 초창기이고

앞으로 발전에 대한 불확실성도 있으나,

결국은 위메이드의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될 것.

---

게임계에서는 기축통화를 추구하고 있지만

암호화폐 전체시장에서는 여러통화중의 하나임.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유저들이 쉽게 사고 팔 수 있는

통화가 되어야 함.

따라서 글로벌 50개 이내에 있는 거래소에 모두 상장하는 것을 목표로하고 있음​​. 

---

목표한 100개 게임 중 일부는

직접개발, 대다수는 외부 게임개발사와의 협력임.

미르4가 4번째게임인데,

앞서 출시한 3개 게임은 잘만든 게임이라기 보다는 테스트 목적의 게임이었음.

미르4는 한국에서도 검증된 웰메이드 게임이었음.

웰메이드 게임을 블록체인과 적절한 계획으로 접목하여 글로벌에 빨리 출시하면 성공을 재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었음.

새로운 시장에 대한 관심을 매우 많은 개발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음.

웰메이드 게임이어야 하고,

게임 기획자들이 어떤 부분을 경제로 할 것인지에 대한 심도깊은 고민이 필요.

가장 중요한 것은 글로벌게임에서 p2e가 아주아주 초기단계이므로

빨리가면 시장을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함. 이런 게임에 대한 니즈가 아주 많음.

 

---

글로벌 시장에서 p2e는 1%미만으로 경쟁을 논할 단계가 아니라고 생각함.

그래서 만나는 게임회사에서 강조하는 것이 빨리 가야함을 강조함. 

---

전세계 탑 50 거래소 모두에 상장할 계획,

거래소 상장을 사전에 공지못하는 이유는 거래소 마다의 정책때문임. 앞으로도 비슷하게 전개될 것.

---

 

* 미르4 에서 환전하는 방식 : 흑철 → 드레이코 → 위믹스 크레딧 → 위믹스 → 자국화폐 재화인 위믹스의 가치가 떨어지면 게임의 흥행이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름. 따라서 장대표는 거래소 상장 등으로 위믹스의 가치를 방어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

 

5. 대표 약력

 

 

게임통으로 업계에서 매우 잔뼈가 굵음.

허무맹랑한 소리를 할 사람으로는 보이지 않음. 따라서 이분이 한 말이 실제 옮겨지고 있는지 확인만 하면 됨. 

 

6. 위믹스 온보딩

 

22.1.4. https://www.fnnews.com/news/202201041054552763

 

위메이드, 조이시티의 건쉽배틀 IP 위믹스에 담는다

[파이낸셜뉴스]  위메이드가 조이시티의 킬러 IP(지식재산권) 건쉽배틀을 활용한 '건쉽배틀:토탈워페어'의 위믹스 플랫폼 온보딩하기로 했다. 양사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한편 위믹스 플랫폼

www.fnnews.com

21.12.29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34086629283440&mediaCodeNo=257&OutLnkChk=Y 

 

이데일리

대한민국 No.1 종합 경제지 이데일리 - 국내외 증권·기업 등 경제 및 종합 뉴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합니다.

www.edaily.co.kr

21.12.28 http://game.mk.co.kr/view.php?year=2021&no=1212592

 

위메이드, 호러 MMORPG ‘다크에덴’ 위믹스 온보딩 계약

위메이드(대표 장현국)는 소프톤엔터테인먼트(대표 유태호)와 ‘다크에덴’ 위믹스 플랫폼 온보딩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온보딩이 결정된 ‘다크에덴’은 초창기 온라인 RPG 감성을

game.mk.co.kr

 

21.12.24 http://game.mk.co.kr/view.php?year=2021&no=1203635

 

위메이드, 엔젤게임즈와 ‘위믹스’ 온보딩 MOU 체결

위메이드(대표 장현국)는 엔젤게임즈(대표 박지훈)와 위믹스 플랫폼 온보딩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엔젤게임즈는 2013년 설립돼 ‘로드오브다이스’, ‘히어로칸타레’

game.mk.co.kr

 

21.12.20 https://zdnet.co.kr/view/?no=20211220093356

 

위메이드, 락스퀘어와 위믹스 온보딩 MOU 체결

위메이드(대표 장현국)가 락스퀘어(대표 조성환)의 게임을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에 온보딩하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락스퀘어는 액션 게임 개발의 베테랑들이 모인 회사다. 와...

zdnet.co.kr

 

속도가 매우 빠르며 이정도 속도면 말한 100개 이상도 가능하겠다는 생각도 해본다.

 

7. 분석

 

위메이드 매출은 미르4 게임 유저 수와 관련이 있으며,

미르4 게임 유저 수는 위믹스의 가치와 관련이 있다.

위믹스의 가치는 1. 거래소 개수와 2. 온보딩 개수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거래소는 전 거래소 상장하겠다고 했으니 지켜보자. 특히 글로벌 거래소.

 

온보딩 수는 공언한대로 무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성장주는 지금 현재 주가의 높고 낮음을 평가하기 어렵다. 성장하기 때문이다. 성장이 지속되는지 여부만 계속 봐야 한다. 위메이드의 성장은 요약하면  위믹스의 성장과 연관되어 있고 위믹스는 온보딩 잘 되고 있다. 거래소 소식도 (코인원 빼고) 계속 들렸으면 한다.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78503

 

코인원 가상화폐 위믹스·갈라 코인 신규 상장, 입금 오픈 - 국제뉴스

코인원이 위믹스, 갈라 코인을 원화마켓에 신규 상장했다.29일 코인원은 위믹스와 갈라를 원화마켓에 신규 상장한다고 밝혔다.지난 24일 디센트럴랜드를 상장한지 5일 만이다.코인원은 이날 에

www.gukjenews.com

 

반응형
반응형

22.1.4. 현재

 

1. 개요

 1) 소개 : 현재 Socios.com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ERC-20 디지털 자산.

Socios.com은 각 스포츠 혹은 e스포츠 구단이

맞춤형 팬 토큰 제공 (FTO)을 통해 팬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있는 턴키 솔루션으로,

디지털 자산을 소유한 팬들에게는 구단 의사결정에 대한 투표권이 주어지며

VIP 레벨 클럽 보상 등 다양한 구단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회사나 팀들에게 블록체인 기반 도구를 제공하여, 팬들을 참여시키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

 

 2) 스포츠 메타버스 생태계 내에서의 거래수단

 

 3) 총발행수량  : 8,888,888,888

 

 4) 시총 : 2.1조원 (가격 : 359원)

 

 

 5) 상장 : 바이낸스 등 글로벌 마켓에 분산. 업비트는 5위 (4.8%)

 

2. 차트

 - 1000원까지 갔던 적도 있었으나 상단을 800원대 (약4-5조원)이라고 보면 지금이 중간정도 가격으로 보인다. 

 

3. 비교대상

 - 스포츠 메타버스 토큰은 따로 찾지 못했다.

업비트 상의 메타버스 토큰으로는 CHZ, ENJ, MANA, AXS, THETA, FLOW 정도가 있는 것 같다.

 

4. 가격

 - 무엇이 비싸다 싸다 말하기 어려운 것 같다. 비교대상도 없으니 앞으로의 성장성을 봐야할 것 같다.

 - 디파이 코인인 솔라나가 100조원가까운 금액까지 올랐다고 해도 정확하게 이게 비싸다 싸다 말하기 어렵다.

 - 마치, 달러가 비싸다 싸다 말하기가 기본적 분석이 불가능한 것처럼. 

 - 즉, 다른 대상이 있어야 하는데, 있다고 하더라도 본질적 가치로 접근하여 분석하는게 어렵다.
 - 다만,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결정되는 것이 힌트가 되지는 않을까 생각된다. 

 

 

5. 잠정 생각

 - 결론은 생태계의 확장이 어느정도 이루어지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생태계 관련 기사

 

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483

 

칠리즈, 크리스탈팰리스와 파트너십 체결… 6번째 EPL 구단 - 풋볼리스트(FOOTBALLIST)

[풋볼리스트] 김동환 기자= 블록체인 핀테크 유니콘 칠리즈(Chiliz)는 16일 영국 프리미어리그의 크리스탈 팰리스와 파트너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칠리즈는 6번째 프리미어 리그 소속 구단을 파

www.footballist.co.kr

https://www.venturesquare.net/845857

 

칠리즈(Chiliz), 뉴욕 닉스·뉴욕 레인저스와 파트너십 체결

스포츠 팬덤을 위한 블록체인 핀테크 유니콘 칠리즈(Chiliz)는 29일 미국 뉴욕에 위치한 두 스포츠 팀인 뉴욕 닉스(New York Knicks), 뉴욕 레인저스(New York Ranger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칠

www.venturesquare.net

 

* 현재 칠리즈 생태계 (100개 이상 스포츠 구단과 협업)

반응형
반응형

9. NFT Marketplace

Marketplace에서 NFT를 만들고 민팅할 수 있으므로,

어려운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직접 프로그래밍하거나 코딩할 필요가 없다.

NFT는 블록체인상의 자산이므로 NFT를 블록체인상에 올려야 함.

OpenSea.io : 최대규모. 2.5%. 이더리움 가스피

Rarible.com : 이더리움 가스피. 민팅시 비용

Nifty Gaeway : 유명 아티스트 작품 only. 15%. 판매위해서는 자체 심사 필요

SuperRare.com / Wax.atomichub.io / Foundation.app

 

10. NFT Minting

순서 : NFT 메인콘텐츠 및 기타 구성요소 ->

지갑(메타마스크) 생성 -> 오픈시 계정 만들기 -> 오픈시 컬렉션 만들기 -> 오픈시에서 민팅하기

구성요소 : 메인콘텐츠, 이름, 미리보기, 특전, 잠금해제, 설명, 지속적 로열티, 공급량, 외부 링크

오픈시 계정 : 메타마스크와 연동. 프필 사진, 배너 이미지 등 필요

컬렉션 만들기 : 오픈시에서 유통되는

모든 NFT는 유사 주제의 NFT를 모아놓은 묶음을 일컫는 컬렉션에 속해야 한다.

컬렉션 구성요소 : 주제, 이름, 로고, 배너이지미, 프로모션이미지, 설명, 링크 등

민팅 전에 꼭 다시 체크해야한다. 다시 바꿀 수는 없으므로.

민팅은 블록체인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하는 것이므로 가스피가 든다.

 

 

11. NFT 판매를 위한 초기 셋팅 비용 요약

1) 각 계정이 매도 주문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초기 셋업 비용 (계정당 1)

2) 판매 성사시 오픈시가 아이템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데 필요한 비용

3) 업비트 -> 메타마스크 전송 가스피 (2021.11 기준 0.018ETH)

1) + 2) 는 변동적이며 35달러에서 812달러까지 range를 보인적도 있다.

평균 비용이 $2.98 로 되어 있으면, ERC 20 토큰 전송을 위해 20을 곱하고

3) $9.21 이라고 되어 있으면, 이를 더하면 된다. , $68.81 상당의 이더리움이 필요하다.

그러나 가스피 변동이 있으며,

전송에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예상 가스피의 2배 혹은 30만원 상당의 이더리움이 필요하다.

 

12. NFT 판매하기

판매방식 등 판매설정을 먼저 해두기. 상품 등록 버튼 누르기.

최초 등록이면 가스피 비용이 나온다. 상품 등록에는 비용이 들기 때문에 준비가 되지 않으면 다음에 하기.

 

13. NFT 구매하기

의미, 쓰임새, 투자, 명성, 수집.

Make Offer 할 때 ETH 보다는 WETH (Wrapped ETH)가 유용하다.

ETH는 각각의 제안에 Commitment 가 사라지는 반면, WETH는 여러번 제안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재테크 >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믹스 (WEMIX) 분석 #1 (위메이드)  (0) 2022.01.05
칠리즈 (CHZ) 분석 #1  (0) 2022.01.04
보라코인 (BORA) 분석 #1  (0) 2022.01.03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2  (0) 2022.01.03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1  (0) 2022.01.02
반응형

22.1.3. 현재

 

1. 개요

 1)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2) Play 2 Earn

 3)  총발행수량  : 1,205,750,000 (현재 유통량 : 861,250,000)

 4) 시총 : 1.2조원 (가격 : 1375원)

 5) 상장 : 업비트, 빗썸, 코인원 (93%가 업비트). 즉, 김치코인

 6)  물량의 90%는 상위 12명이 보유

 

2. 합종 연횡

 1) 카카오게임즈의 라이온하트스튜디오(오딘의 글로벌판권을 보유한 회사) 인수

 2) 프렌즈게임즈(카겜의 자회사)의 웨이투빗(보라코인 발행사) 인수

 * 이는 오딘에 보라코인을 붙이기 위한 목적

 

 

3. 카겜 현황 & 클레이튼

 카겜은 자체 체인인 클레이튼이 있으며  NFT 거래소를 설립할 것이라고 선언.

 클레이튼은 싱가폴에 발행사(그라운드 X)를 두고 있다. 

 * 현재 코인 거래가 증권인지 여부 등 규제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을 감안 보라코인을 ERC20 에서 클레이튼으로 이관함

 

4. 이슈

 우리나라에서는 P2E 가 사행성 논란으로 인해 현재 진행 불가 상황

 허용 가능한 동남아 국가에서 수익을 내야하는 상황 (위메이드-위믹스-미르4 와 같이)

 

5. 관건  

 1) 결국은 실적 (카겜의 실적 보아야 함. 실적 안나오면 결국은 대테마에서 사라지게 될 수 있음)

 2) P2E 게임은 결국 재미가 있어야 하며, 돈이 되어야 함 → 이 2가지가 충족되면 선순환 가능

 * 필자는 게임은 안하지만 오딘의 완성도가 높다는 이야기가 대다수 

 3) 또한 생태계를 어떻게 키우느냐에 따라 장기 성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

 * 위메이드는 지금 중소형 게임회사와의 연합 전선 구축중. 100개 연합 목표라고 발표.

 * 카겜은 카카오라는 대기업의 생태계를 어떻게 활용할지도 중요하다고 보임

 

6. 코인가격 관련

 보라코인은 철저히 김치코인이기 때문에 카카오게임즈 주가와 연관이 매우 높은 상황. 

 카겜 주가 분석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 

 비트코인이나 메이저코인 등 시장영향을 받기야 하겠지만  아주 흔들지만 않으면 개별주식처럼 움직일 수 있는 이유.

 세력이 대부분 우리나라에 있을 것이기 때문.

 오늘 급 상승(+15%) 역시 이렇게 해석됨.

 

7. 비교 대상 : 위메이드의 위믹스 코인

 1) 발행 : 10억 위믹스

 2) 시총 : 1.4조로 유사

 3) 개발 : '20.6.17. Wemade Tree Pte. Ltd.

반응형

'재테크 >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리즈 (CHZ) 분석 #1  (0) 2022.01.04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3  (0) 2022.01.04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2  (0) 2022.01.03
The NFT Handbook : NFT 사용설명서 #1  (0) 2022.01.02
믹스마블 (MIX) 분석 #1  (0) 2021.12.30

+ Recent posts